본문 바로가기

여행

제주 4.3 평화공원지도

반응형

PDF 개요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4] 7년 7개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일제의 패망 이후 무장반란한 남조선로동당 무장대와 미군정과 국군, 경찰 간의 충돌과 사건 발발 이후 서북청년단으로 대표되는 국가폭력 및 남북한의 이념갈등을 발단으로 이승만 정권 이후 미국 정부의 묵인하에 벌어진 초토화 작전 및 무장대의 학살로, 많은 주민이 억울하게 희생당한 사건이다.

제주도는 이미 일제에게 가혹한 수탈을 당한 걸로도 모자라 결7호 작전이 시행되어 섬이 초토화될 위기에 처했던 적이 있었고, 1945년 이후부터 종전 전까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제주도는 미군정의 폭정과 사상 최악의 지속적 흉년에 시달렸다. 그야말로 제주도 역사상 최악의 상황이었다고 봐도 무방했을 때, 4·3이라는 명칭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했던 대규모 소요사태에서 유래하였다. 그날 남조선로동당 제주도당에서 단독으로 무장대를 조직, 경찰서 기습을 감행해, 제주 4·3 사건이라고 불린다.

목호의 난과 함께 제주도 역대 최대의 참사 중 하나이며, 여순사건, 국민방위군 사건, 보도연맹 학살사건,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거창 양민 학살사건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민간인이 억울하게 학살되거나 희생된 대표적인 사건으로 꼽힌다.[5]

결론적으로 제주도민들을 상대로 각각의 집단들이 학살에 가담하거나 방관 및 조장하여 그 누구도 책임에 있어 자유롭지 못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