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DF 개요
한국이 관광산업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한건 관광산업이 외화 획득 수단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던 1960년대 말부터였다.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자본형성에 누구보다 목을 맸던 박정희 군사정부는 관광산업이 투입되는 단위당 비용은 적으면서 산출되는 이익은 높다는 데(외화 가득률)이 주목하였고,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관광사업진흥법"[1]을 제정하고, 이를 주도적으로 맡아 추진하기 위해 1962년 국제관광공사를 설립하였다.
낮은 국민소득 수준과 여가에 대한 낮은 인식 덕분에 국민의 관광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이 때의 관광정책은 외래 여행객을 유치하고 열악한 수준에 있는 각종 관광 인프라들을 정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1960년대 한국은 최빈국이라 주먹구구였고 관광 목적으로 한국을 찾을 만한 사람도 없는 나라였다.
1970년대 들어 경제개발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서 국민의 소득수준이 점차 확충되었고, 중문관광단지를 비롯하여 관광 인프라도 점차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부터 한국은 최빈국을 면하여 어지간한 선진 개발도상국 수준으로 비약하기 시작한다. 이 때를 기점으로 수도권 전철이 1974년 개통되고, 새마을호가 처음 등장하여 서울역-대전역-동대구역-부산역만 찍고 4시간 50분이라는, 당시 기준으로는 믿기지 않는 속도로 달리기 시작한다.
1980년대 들어 이른바 3저 호황과 함께 마이카 열풍이 불어닥치고, 여가 시간과 소득, 이동수단을 획득한 국민은 폭발적으로 관광 활동에 나서게 된다. 이 때의 주요한 관광 활동으로는 해운대해수욕장 등 부산광역시의 해양 관광자원을 이용한 피서, 경주의 불국사 등 정책적으로 조성된 관광단지들을 방문하는 국내관광이 주를 이루었으며, 일부 상류계층을 대상으로 해외 여행도 조금씩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새마을호는 PP동차 및 유선형 객차 개발로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 4시간 10분 만에 서울-부산을 오갈 수 있게 되었으며, 달리는 호텔이라는 별명이 아깝지 않는 훌륭한 서비스를 자랑하며 손님을 긁어 모은다!!! 부산 도시철도의 개통으로 서울경기 지역과 함께 한국의 제2 경제권인 부산경남 지역에도 지하철 서비스가 실시되며, 119 구급대가 1981년, 119 구조대가 1988년 발족하고 화재 및 구조요청, 응급의료요청 번호인 119, 범죄신고인 112, 간첩신고 113 등 각종 긴급번호가 도입되어 외국인들도 손 쉽게 긴급상황 시 도움을 받게 된다. 경찰에서는 아예 112 기동순찰대를 만들어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대비 치안유지 활동도 벌인다.[2]
다운로드:
반응형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니카 공화국 여행시 한글지도 다운로드 (0) | 2019.07.13 |
---|---|
도미니카 여행시 참고할 만한 한글지도 공유 (0) | 2019.07.12 |
뉴질랜드 여행시 참고한 만한 한글지도 다운로드 (0) | 2019.07.10 |
호주 여행시 호주 주별 한글지도. (0) | 2019.07.09 |
핀란드 여행시 참고할만한 한글지도 다운 받으세요. (0) | 201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