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미국 최신 뉴욕 가볼만한 곳 관광가이드북 지도 (뉴욕관광청 제공)

반응형


PDF 개요


오늘날 알려진, 뉴욕에 처음으로 도달한 유럽 국가는 프랑스였다. 16세기 초, 중엽 당시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카를 5세와 경쟁 중이었는데, 아즈텍과 잉카를 정복하고 다량의 금은을 수탈하고 있던 카를에게 경쟁심을 느낀 프랑수아가 1524년에는 조반니 다 베라차노를 후원하여 오늘날의 뉴욕을 탐험하게 한 것. 이때 조반니는 프랑수아가 즉위 이전 프랑스 서남부의 앙굴렘 백작이었다는 데에서 착안하여 자신이 '발견' 한 땅을 '누벨 앙굴렘'. 즉 '새 앙굴렘' 이라 불렀으나 정착지를 세우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고, 프랑수아와 그 뒤를 이은 앙리 2세는 '신대륙' 개척보다 합스부르크와의 싸움을 우선했으며 앙리 사후에 위그노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끝내 프랑스의 정착지는 세워지지 않았다[9].

뉴욕에 정착지라 할 만한 본거지를 차린 것은 1626년에 네덜란드인들이 맨해튼 섬을 원주민들로부터 24 달러에 사들여 '뉴암스테르담[10]'이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하지만 이는 원주민들을 적대하던 경쟁 부족이 이 부족으로 변장해서 계약을 한 것이 일부만 알려진 것인데, 정확히는 네덜란드 돈으로 60길더 가치의 물품을 준 것으로 19세기의 미국 역사가들이 이 이야기를 조사하면서 미국 돈 24달러로 바꿔 써서 유명해졌다. 만약 현재 가치로 당시의 네덜란드 60길더를 바꾸면 1천 달러가 된다. 흔히들 이를 두고 "그때 1달러 어치만 사뒀더라면..." 하는 농담 식으로, 역사 속의 빅 딜 중 하나로 많이 언급된다. 월 스트리트의 전설적 투자자 존 템플턴은 이 유명한 예화를 거꾸로 이용해서 복리의 힘을 설파한 적이 있다.[11]

그러나 이 이야기에 대한 다른 해석도 있는데, 우선 잘못된 원주민과 거래했다는 것은 절대적인 정설이 아닌 일부의 주장이며, 무엇보다도 당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미국 동해안 원주민 부족들과의 거래 관계는 저런 식으로 현대적인 부동산 거래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맨해튼 섬의 원주민들은 거래 이후에도 계속 남아서 살았으며, 네덜란드 인들도 굳이 그들을 쫓아내려고 하지 않고 같이 살았다. 즉 60길더 어치의 물품은 네덜란드 인들이 맨해튼의 원주민들 사이에 살면서 무역할 권리를 산 것이고, 또한 이웃 라이벌 원주민들에 대항하는 군사동맹이기도 했다는 것.

이후 1664년, 제2차 영란 전쟁에서 영국이 이 지역을 네덜란드로부터 얻으면서 암스테르담 대신 영국 지명인 요크가 대신 붙어[12] 오늘날의 명칭이 되었다. 사실 이는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향료 무역에서의 대립에서 비롯된 것인데, 향료 무역의 주요 거점인 룬 섬 지역[13]을 둘러싸고 대립하다가 1667년에 브레다 조약으로 룬을 영국이 포기하는 대신 뉴암스테르담의 영유권을 차지하게 된 것. 1673년 제3차 영란 전쟁에서 다시 네덜란드가 점령하긴 했으나, 바로 다음 해 웨스트민스터 조약으로 전쟁이 끝나면서 수리남은 네덜란드에, 뉴욕은 영국에 귀속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1789년 미국 독립 이후 1791년까지 미국의 공식 수도였다.

현재 뉴욕 시는 5개의 자치구를 가진 미국 내 유일한 도시인데 이는 19세기부터 일어난 주변 지역 편입에 의해 이루어졌다. 원래 브루클린, 퀸스, 브롱스, 스태튼 아일랜드는 별개의 다른 도시였다. 이 편입은 1800년대 중반, 브롱스의 일부 지역의 편입에서부터 시작되어 1898년 브루클린, 퀸스, 스태튼 아일랜드와 브롱스의 남은 지역을 모두 편입하면서 종료되었다.

한때 환경미화원들이 일하는 게 너무 힘들어서 임금인상과 근로시간 조정을 조건으로 파업을 했는데 단 하루 만에 미화원들의 조건을 들어줘야 할 정도로 쓰레기가 엄청나게 쌓였다고 한다. 그래서 미화원들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한다. 오죽하면 뉴욕시 위생국 경찰대라고 위생국 전담 경찰이 따로 있을 정도이다.

2017년 9월 뉴욕 시의회는 뉴욕 시 전역에 있는 공립학교에 무상급식하는 것을 통과시켰다.#

2019년 1월 18일 뉴욕시에서 한국의 3.1 운동 기념일 관련 의제가 시의회 만장일치로 통과되어 매년 3.1 운동 기념일을 맞이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