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DF 개요
유럽에서도 서쪽 구석 끝에 위치했고 대서양 바다에 접근하기도 쉬워서 일찍부터 진출하려고 했다. 기존의 지중해-오스만 제국-동방 루트를 대체하기 위해서 15세기 초부터 엔히크 왕자의 주도 아래 아프리카로 탐험대를 보낸다. 바르톨로뮤 디아스는 희망봉을 발견하고 이후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로 가는 항로를 개척해 대박을 치게 된다. 한때는 교황의 중재 아래 스페인과 더불어 토르데질랴스 조약[3]으로 세계를 분할할 정도의 해양 강대국이었다.
과거 주요 식민지로는 브라질, 아소르스 제도, 모잠비크, 앙골라, 상투메 프린시페,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동티모르, 마카오 등이 있었다. 유일하게 남아메리카 대륙에 있던 식민지인 브라질은 스페인의 콜럼버스가 신대륙(아메리카)을 발견하고 8년 뒤 페드루 알바르스 카브랄이 발견했는데 토르데시야스 조약에서 나눈 선보다 동쪽에 있어 포르투갈령이 되었다.
스페인의 경우는 소수의 콘키스타도르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대군조차 야전에서도 거뜬히 상대하고 심지어 스페인 군견 한 마리가 원주민 전사 세 명과 대등한 전투력을 지녔던(...) 반면 포르투갈의 경쟁 상대들은 오스만 제국이나 맘루크 왕조 등 쟁쟁한 나라들이 많았다. 이런 나라들은 중앙집권화가 잘 되어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웠으며, 소규모 탐험대가 어설프게 야전을 벌였다간 우수한 화기를 보유한 대군에게 포위당해 전멸당할 위험이 컸다. 그래서 포르투갈인들은 먼저 해안 거점 지역에 석조 요새를 건설하고 대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영토를 넓혔다. 중국에서는 젖은 화물을 말린다며 땅 하나를 빌려놓곤 세금을 내는 조건으로 영구 임대해 갔는데 그게 마카오다.
그래도 동방에서도 포르투갈 군대의 위력은 상당해서 불과 7백명의 콘키스타도르들이 2만명이 지키는 말라카를 점령하고 식민지를 세우기도 했고 이것을 기점으로 명나라에 유럽식 화기가 전해지기도 했다. 세계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한 페르디난드 마젤란도 포르투갈 출신.[4]
이때만 해도 포르투갈의 위상은 상당했다. 유럽의 한 사신이 동쪽으로 가다가 서남아시아 지방에 잠시 정박했는데 현지 군인 장교가 사신을 보더니 포르투갈어로 말을 걸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이것은 당시 포르투갈어가 적어도 유럽과 중동에서는 국제어 중 하나의 지위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1500년 무렵에는 인구도 1,000,000명 정도로 많지는 않았지만, 스페인과 다르게 유대인들을 추방하지 않고 명목상 가톨릭으로 개종하면 해외 식민지 개척에 이용하고,[5] 군인들과 선원들이 빠져나간 빈자리는 서아프리카에서 수입해온 흑인 노예로 충당하였다.
인도양의 해상 무역 루트를 노리고 자주 소규모 군사 원정을 벌이기도 했는데 그 때문에 오스만 제국이나 이슬람 토후국들과 소말리아, 인도네시아, 인도 등지에서 싸우기도 했고 동아프리카 지역을 점령해 발판으로 교역의 발판으로 삼은 뒤 오만과 호르무즈 해협을 잠시 정복하기도 했다.[6] 심지어 미얀마의 용병대장 필리페 드 브리투가 미얀마 남부에 자신의 국가를 세웠다가 나중에 미얀마에 쫒겨나기도 했다. 거기에 더해 말라카와 동티모르 지역도 점령하였고 스리랑카도 잠시 정복해서 장대한 해상 제국을 세웠다.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서 쳐들어간 적도 있지만 당시 인도는 무굴 제국 체제에서 명군인 황제들이 통치하고 무기나 병력 수, 장비, 사기에서도 절대로 뒤쳐지지 않았기 때문에 포르투갈 원정군이 제압당하기도 했다. 이 지역에서도 포르투갈군은 인도 남부의 소규모 제후국들이 다스리는 해안가 지방에 석조 요새를 건설하고 대포를 설치한 후 캘리컷이나 고아(인도)같은 지역을 식민지로 삼았다.
다운로드:
반응형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판 제주도 관광지도, 제주의 봄 (0) | 2020.06.26 |
---|---|
캄보디아 가볼만한 영문지도 (0) | 2020.06.25 |
가볼만한 모나코 여행지도 (0) | 2020.06.23 |
독일 여행시 가볼만한 주요한글도시 (0) | 2020.06.22 |
벨기에 가볼만한곳 한글 주요도시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