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싱가폴 지하철 smrt 노선도 pdf

반응형


PDF 개요


싱가포르는 1965년 8월 9일에 독립된 신생국이었지만 이미 1960년대 부터 도시가 포화 상태가 되기 시작됐다. 영국 자치령 시절부터 말레이시아 본토에서 수많은 이민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1960년대 독립 당시에는 지하철은 켜녕 홍콩 트램 같은 트램까지 도시철도 자체가 없어서[1] 다들 시내버스를 이용했는데 출퇴근 시간이면 항상 헬게이트가 열렸다. 홍콩의 경우는 1904년에 일찍이 홍콩 트램이 다녀서 일찌감치 도시철도가 등장했으나 싱가포르는 그렇지 않았다. 홍콩은 트램으로 어느 정도 분산이 되어 홍콩 버스는 그렇게까지 크게 혼잡하진 않았으나 싱가포르는 이미 독립 당시부터 사람이 많은데다 대중교통도 시내버스 하나뿐이라 아침마다 헬게이트가 열릴 수밖에 없었다.[2] 가까운 거리는 걷는 사람도 많았을 정도다.

다만 이럴 만한게 1960년대에는 싱가포르 버스 중 에어컨이 있는 차량이 많지가 않았다. 그리고 싱가포르의 극심한 교통 정체현상도 한몫 했다.[3][4]

그래서 이 나라는 말레이시아 연방에 속해 있을 때부터 도시철도 건설이 논의되었다. 상기한 문제점들 때문이다. 그리고 도시철도 계획은 1965년 독립한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싱가포르 MRT 남북선(레드라인)하고 싱가포르 MRT 동서선(그린라인)이 먼저 거론되었고 실제로도 이 둘이 먼저 개통되었다. 이유는 바로 이 두 노선은 싱가포르의 중심가인 오차드 로드와 차이나타운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주택가/ HDB 아파트 단지인 비샨이나 주롱 등 신시가지를 지나기 때문이다.

거기에 공항이 창이로 이전된 1981년 이후부터는 도심에서 가깝던 구 공항을 폐쇄하고 오차드 로드 등 도심과 20분 이상 떨어진 창이까지 오가야 해서 창이공항과 시내를 잇는 대중교통도 필요했다.

그래서 1969년 ~ 1971년 사이에 싱가포르 MRT 남북선(레드라인), 및 싱가포르 MRT 동서선(그린라인)이 먼저 만들어지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초반부터 도심 내 연약지반 검사 및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5]

1970년대 중반에는 현재의 싱가포르 MRT 동북선의 계획이 발표되었고 1980년대 초반에는 서클선, 1980년대 중반에는 다운타운선 그리고 1990년대 초반에는 톰슨 이스트 코스트선의 계획이 발표되었다.[6]

그 후 1987년 남북선과 동서선이 먼저 개통되었다. 홍콩 지하철보다는 거의 10년이나 늦은 개통이었으나 대신 홍콩 지하철을 벤치마킹하여 편리하고 쾌적한 문자 그대로 싱가포르다운 지하철을 만들었으며, 도로의 극심한 교통체증 현상도 이 때 ERP시스템 도입과 지하철 개통 등으로 크게 완화되었다. 1980년대는 싱가포르가 선진국에 진입한 시기로 이 지하철 개통과 센토사 섬 개발 등이 싱가포르 경제발전의 상징이 됐다. 마치 홍콩의 선진국 진입 상징이 홍콩 지하철과 크로스하버 해저터널의 개통, 그리고 동남아시아 최대 테마파크인 오션파크의 개관 등인 것과 비슷하다.

현재도 신생노선들이 여럿 계획되고 있다. 안 그래도 좁은 싱가포르 섬에서 지하철로 못 가는 곳이 없는데 주거단지들을 연계하거나 말레이시아 국경 근처를 가는 식으로 여러 노선들이 논의 중이다.

싱가포르 MRT 동서선으로는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주롱 새공원 등을 갈 수 있고, 싱가포르 MRT 남북선으로는 차이나타운과 오차드 로드 등 싱가포르 도심지, 교외 주택단지인 비샨, 북부 말레이시아 접경지대로 미합중국 해군 셈바왕 해군기지 등 군사시설들이 많은 북부 셈바왕, 애드미럴티 등으로 갈 수 있다. 공항에서 오차드 로드까진 지하철을 이용하면 20분도 걸리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