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일본 북해도 하코다네 지도 한글판 공유합니다. 다운 받으세요. pdf

반응형


PDF 개요


홋카이도 남서부 쓰가루 해협과 면한 지점에 위치해 있는 홋카이도 최대의 항구도시. 오시마 종합진흥국의 중심도시이기도 하다. 삿포로와의 거리는 철도 기준으로 3~4시간이고, 인구는 2018년 기준으로 26만여명이다.


일본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 순위로 현재 1위를 차지하고 있다.[2] 홋카이도 남부에서 굉장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로 하코다테 산에서 볼 수 있는 시 서쪽의 반도 부분이 부채꼴로 펼쳐진게 독특한 장관을 연출하기 때문에 고베, 나가사키 야경과 함께 일본 3대 야경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원래 이 곳은 아이누인들이 고기를 잡고 살던 한적한 어촌으로 아이누어로 이름은 우스케시(usukeshi, 宇須岸(ウスケシ))[3]였다. 그러던 중 무로마치 시대인 1454년, 츠가루의 호족 고노 마사미치(河野政通)가 다이묘 책봉 경쟁에서 밀린 뒤 측근들과 함께 에조치(蝦夷地)로 튀면서 우스케시에 장원을 지었다. 이 장원이 마치 상자처럼 보였기에 하코다테(箱館)란 이름으로 불렸다. 그 후 1869년 에조치가 홋카이도로 개명되면서 하코다테의 이름도 발음은 같지만 다른 한자인 '函館'로 바뀌면서 지금까지 내려져 온다.

그 후 하코다테 일대는 마츠마에(松前) 번에 소속되어 마츠마에 가문이 지배하는데 하코다테는 마츠마에 3항(松前三港) 중 하나로 에조치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수산물의 집산지와 아이누와의 교역품을 처리하는 곳으로서 에조치의 일본의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18세기 말, 러시아의 남하가 가속화되면서 위기감을 느낀 에도 막부는 에조치 일대의 마츠마에 번 영지를 막부 직할령으로 두게 되는데 이 때 하코다테에는 막부 직속의 봉행소가 설치되어 아이누와의 교역을 담당하였다. 그 후 1854년 미일화친조약으로 일본이 개항하면서 하코다테는 일본이 처음으로 개방한 두 항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이 때 하코다테에 외국인거류지가 생겼고 보방식 요새인 고료카쿠(五陵郭)가 만들어진 것도 바로 이 때.

무진전쟁 이후 에도 막부가 멸망하자 막부의 잔당 일부가 하코다테로 도망쳐 에조 공화국을 세운 적도 잠깐 있다. 물론 에조 공화국은 삼일천하로 끝났지만, 사실상 막부 세력이 메이지 신정부군을 상대하는 최후의 전투가 이 곳의 고료카쿠에서 벌어졌다.

메이지 유신 이후 본격적으로 홋카이도가 개발되면서, 상대적으로 혼슈에 가까운 섬 남부 지역이 섬 북부 지역보다 더 빨리 개발될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전부터 일본이 홋카이도에 세운 주요 거점이자 최초로 개항한 항구 도시 버프를 받았기 때문에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로 번영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