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거창 금귀봉에서 보해산 까지 등산코스 산행 지도 다운

반응형


PDF 개요


삼국시대 초기에는 거열군(居烈郡)이라 불렀고, 거타, 거열 등의 이름이 음운상 유사성이 있어 자타국이라는 나라가 여기 있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

현재 사용하는 이름인 거창군은 통일신라 경덕왕이 전국 지명 한화정책을 시행할 때 지은 이름이다.

이후 조선시대 때까지 명칭이 조금씩 여러 번 바뀌었다가 거창도호부가 되었다. 조선 초에는 거창현이었다가 연산군 조에 거창군으로 승격하였다. 이유는 연산군의 아내인 신씨의 고향이 거창이었기 때문. 이는 연산군이 특이해서 그런게 아니고, 본래 조선시대엔 왕비의 본관인 지역을 승격하는게 관례였다. 이후 중종 대에 다시 거창현으로 강등했다. 그리고 영조 대에 중종비 단경왕후을 복권하고 단경왕후[1]의 고향이라는 명목으로 거창부로 승격했다.
1895년 5월 26일 진주부 거창군이었다. 그러다가 이듬해인 1896년 경상남도 거창군이 되었다. 1914년 3월 1일 안의군의 마리면, 위천면, 북상면과 삼가군(현 합천군 남부) 신원면을 편입하였다. 1937년 거창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57년 월천면이 거창읍에 흡수되었다.
6.25 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인 거창 양민 학살사건이 일어났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거창군에는 거창사건추모공원이 존재한다




반응형